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휴리스틱을 연구하여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다니엘 칸만"

대주제 : 행동경제학을 발전시킨 다니엘 칸만에 대해 알아보자!

 

다니엘 칸만(Daniel Kahneman)은 심리학자로, 2002년 경제학 분야에서 행동경제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인물입니다.

 

행동경제학은 경제학과 심리학의 요소를 결합하여 현실 세계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며 그 이유를 이해하기 위한 학문입니다.

 

칸만의 주요 연구 주제는 휴리스틱(heuristics)이며, 이는 경제학에서 합리적인 최적화된 결정을 내리는 모델인 "경제인(Economic Man)"의 가정에 대항하는 개념입니다.

 

휴리스틱

 

소주제 1 : 기존 경제학에서 기본으로 가정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반기를 든 다니엘 칸만

 

칸만은 인간의 판단과 의사결정이 합리적인 모델보다는 자주 휴리스틱이나 편향(bias)에 의해 이뤄진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대신 직관과 경험에 의존한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칸만은 "Thinking, Fast and Slow"라는 책에서 "시스템 1"과 "시스템 2"의 개념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개념은 인간의 사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시스템 1"은 자동적이고 직관적인 사고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 시스템은 빠르고 경험에 기반한 판단을 수행하며, 휴리스틱과 관련이 있습니다.

"시스템 1"은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며, 이전에 형성된 패턴이나 기존의 생각과 관련된 정보를 연관시킴으로써 결정을 내립니다.

 

"시스템 2"는 논리적이고 숙고하는 사고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 시스템은 더 철저하고 논리적인 분석을 수행하며, 문제 해결과 결정에 노력과 집중이 필요합니다.

"시스템 2"는 의도적으로 활성화되며, 복잡한 문제에 대한 균형 잡힌 판단을 지원합니다.

 

"시스템 1"은 빠르고 직관적이지만 오류와 편향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시스템 2"는 느리지만 합리적인 판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두 시스템은 상호작용하면서 우리의 의사결정 과정을 형성합니다.

칸만의 연구에서 "시스템 1"과 "시스템 2"는 인지적 프레임워크로 활용되며, 휴리스틱과 관련된 행동 및 판단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킵니다.

 

이 개념은 인간의 사고 과정을 이해하고, 인지적 한계와 편향을 탐구하는 데에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소주제 2 :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칸만의 휴리스틱은 무엇인가?

 

휴리스틱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대표성 휴리스틱(Representativeness Heuristic)과 가용성 휴리스틱(Availability Heuristic)이 그것입니다.

 

대표성 휴리스틱은 사람들이 판단을 내릴 때 일반적인 대표적인 패턴이나 유사성을 갖는 사례에 의존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 휴리스틱에 따르면, 주어진 상황이나 개체가 어떤 범주에 대표적으로 속한다고 느끼면, 해당 상황이나 개체를 그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대표성 휴리스틱을 따르면 특정 개인이 특정 직업을 가지고 있다면, 그 개인을 그 직업의 대표적인 특징을 갖는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가용성 휴리스틱은 사람들이 판단을 내릴 때 기억이나 상상력에 의존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 휴리스틱에 따르면, 사람들은 판단을 내릴 때 자신의 기억 속에서 잘 떠오르는 정보나 사례를 근거로 하여 그 사례가 일어날 확률이 더 높다고 여기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최근 뉴스에서 상어에 관한 기사를 많이 접했다면, 가용성 휴리스틱에 따라 바다에서 상어를 만날 확률을 높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두 휴리스틱의 주요 차이점은 정보 처리 방식에 있습니다.

대표성 휴리스틱은 일반적인 대표적인 패턴이나 유사성을 갖는 사례에 의존하고, 가용성 휴리스틱은 기억이나 상상력에 의존합니다. 대표성 휴리스틱은 주어진 상황이나 개체가 어떤 범주에 대표적으로 속한다고 느끼면, 해당 상황이나 개체를 그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가용성 휴리스틱은 사람들이 판단을 내릴 때 기억 속에서 잘 떠오르는 정보나 사례를 근거로 하여 그 사례가 일어날 확률이 더 높다고 여깁니다.

 

이처럼 대표성 휴리스틱과 가용성 휴리스틱은 사람들이 판단을 내릴 때 사용하는 다른 휴리스틱입니다. 대표성 휴리스틱은 일반적인 대표적인 패턴이나 유사성을 갖는 사례에 의존하며, 가용성 휴리스틱은 기억이나 상상력에 의존합니다.

 

결론 : 행동경제학자인 다니엘칸만이 경제학사에 미친 영향은?

 

행동경제학은 경제학의 전통적인 가정을 벗어나, 인간의 행동을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다니엘 칸만은 프로스펙트 이론(Prospect Theory)과 휴리스틱과 바이어스(Heuristics and Biases)에 관한 연구 등을 통해 행동경제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프로스펙트 이론은 경제적인 결정이 개인의 주관적인 기대와 감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제시한 이론으로, 손실과 이득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행동경제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경제적인 선택이 항상 이성적이고 최적화된 결과를 도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휴리스틱과 바이어스에 관한 연구는 인간의 판단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휴리스틱(판단을 간소화하기 위한 규칙이나 경험에 의존하는 편견)과 바이어스(판단을 왜곡시키는 인지적 편향)를 다양한 실험과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설명한 것입니다. 이는 실제 경제상황에서 인간의 판단이 어떻게 영향을 받고 오류를 일으키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따라서, 다니엘 칸만의 연구는 경제학사에 행동경제학을 도입하고 경제학의 전통적인 가정을 확장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경제학은 보다 현실적이고 심리학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학문 분야로 진화하였습니다.